top of page

김서진 Kim, Seo Jin
b.1984~

김서진 작가는 코넬대학교 Fine Arts 학사과정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 석사를 수료하였습니다. 2016년 갤러리 웰 [Re-collection 개관초대전], 갤러리 AG [LandE-scape], 2015년 유중아트센터 [Land-scape], 갤러리 진선 [윈도우전 74 ‘Re-collection], 2012 갤러리 전 [One Way Ticket] 등 개인전을 열었으며,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습니다. 

작가는 미국 이주 이후 이국과 모국 사이에서 겪어야 했던 반복적인 이별과 재회, 분절된 공간, 잦은 이동 속에서 느껴졌던 감정의 조각들을 붙여나가는 것으로 작업을 해왔습니다. 회화작업을 바탕으로 영상, 사진, 설치작업까지 작업의 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초기 유리 구슬을 깨트려 그 안에 투영된 왜곡된 공간에 기록하는 작업부터 해체와 재조합의 과정을 거치며 그 개념이 가상의 공간까지 확대하였습니다.
풍경(Landscape)을 뜻하는 단어에 전자(Electronic)를 상징하는 알파벳(E)를 합성한 LandE-scape는 전자적 현실에 관한 현대판 풍경화가 바로 그것입니다. 최근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협업 Sharable City를 통해 선보인 VR작품 [백색왜성]은 평면을 벗어나 직접 가상의 공간을 연출하고 제작함에까지 이르렀습니다. 작가는 공간은 과연 현대인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물리적 정신적 공간의 경계선에서 감각적으로 그 문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Artist Statement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은 빨라졌지만 그 안에서 부유하는 감정들은 더욱 깊어지기만 한다. 시간과 공간을 소유할 수 없기에 나는 가벼워져야 하고 나는 그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다. 유년기 시절 급작스러운 미국 이주 이후 이국과 모국의 집 사이에서 겪어야 했던 반복적인 이별과 재회 속에서 끊겨진 시간, 분절된 공간과 감정 조각들을 붙이는 데에서 나의 작업은 시작되었다. 뉴욕과 서울의 두 집을 오고 가며 현지인과 이방인의 경계는 모호해졌고 두 곳에서의 시간과 공간은 부분적인 조각들(fragments)이었다. ‘이 곳’에 있으면 ‘저 곳’은 바라보고 회상해야 하는 대상이 되고 이 둘은 지속적으로 반복 교차되며 맞닿을 수 없었다.

오늘날을 사는 우리도 공간과 시간의 관계성에 대해 절대적 정의를 내리기가 힘들다. 이동수단의 발달은 물리적/시간적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게 만들었고 더 나아가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가상과 허상, 그리고 실재의 경계를 허물었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접속 가능한 컴퓨터 게임 속 가상공간은 현실의 풍경과 중첩되어 있고 그 안에서 체험하는 풍경은 또 다른 오늘날의 풍경이다.  “LandE-scape”시리즈는 ‘풍경’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landscape” 에 “electronic”을 합친 ‘전자풍경화’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미 타인에 의해 재현되어 만들어진 컴퓨터 게임 풍경 안에서 그 풍경을 경험하고, 마치 실제로 여행을 하듯 사진을 찍어 기록을 하고 그 이미지들을 걸러내어 재현의 재현, 재편집을 한다. 그래픽의 한계로 인한 픽셀의 깨짐이나 컴퓨터 이미지의 단면들을 그대로 드러냄으로서 어딘가 존재할 법 하지만 부자연스럽고 익숙하지만 불편한 풍경의 모습들을 기록하고 재조합한다. 단순화된 1세대 게임부터 현실과 흡사한 고사양의 그래픽을 구현하는 게임까지, 혼재된 모습들을 하나의 풍경 속에 담는다.

이렇듯 가상공간에서 현실은 재현되고 재현된 공간 안에서 우리는 그 공간을 체험하고 그 경험은 하루하루의 기록으로 남는다. 우리가 겪는 시/공간은 실재와 가상을 넘나들며 부분적인 파편으로 기록되어 전체가 되었을 때는 부분들의 단순한 합이 아닌 우리가 느끼는 진정한 현대식 풍경이지 않을까 한다. 현실을 VR로 재조합하고 그 가상의 공간을 다시 아날로그적 회화로 풀어내는 방식은 실존하는 세상이 또 다른 가상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은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다시 익숙해져 가는 과정을 쫓는다. 결국 어떠한 것이 본질이며 우리에게 공간은 무엇인지에 대해 물음을 던지고 있다. 

​학력

2017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미디어아트 전공 석사, 서울

2007 코넬대학교 Fine Arts 전공 학사 졸업, 뉴욕

2006 Cornell-In-Rome 프로그램 수료, 코넬대학교, 로마

2005 센트럴 세인트 마틴 예술대학, 교환학생 프로그램 수료, 런던 


개인전

2016 Re-Collection 개관초대전, 갤러리 웰, 서울

2016 LandE-scape, 기획자추천공모전, 갤러리 AG, 서울

2012 One Way Ticket, 갤러리 전,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

2011 Re-collection 윈도우 선정작가전 #75, 갤러리 진선, 서울


주요단체전

2017 Sharable City-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돈의문박물관, 서울

2017 Intro:가상과 현실의 역학관계, 에코락갤러리, 서울

2016 숨, 신촌세브란스병원 우리라운지 힐링가든, 서울

2015 이합집산, 히든엠 갤러리, 서울

2014 숲속의 산책-유중아트센터4주년 개관기념전, 유중갤러리, 서울

2012 Blue Wind, 갤러리 진선, 서울

2011 The Blank, 키미아트, 서울

2011 Yoofesta, 유아트스페이스, 서울

2010 Team-work, Allan Nederpelt Gallery, Brooklyn, NY

2009 제 5회 송좡문화예술제-한국관, 베이징, 중국

2009 Personally Political-Contemporary Sensation, Kunsthaus Tacheles, 베를린 외 다수

레지던시
2014-5 제4기 유중아트센터 입주작가, 서울
2014 감만창의문화촌 협력입주작가, 부산문화재단, 부산
2013 국제레시던시 프로그램, 아트인네이처, 부산
2009 여름 입주작가 프로그램, School of Visual Arts, 뉴욕

 

기타활동

2017 창의인재양성사업 멘티참여, 아트센터나비, 서울

2015 미스터기부로 참여작가, 하이서울페스티벌, 서울문화재단, 서울

2015 72시간 도시생생 프로젝트 Upcycling Guro 설치, 한화, 서울


작품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국립중앙박물관, 골든에이지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코넬대학교

상호명 : 아트맵 ART.Map | 대표 : 김선영 | 사업자등록번호 : 899-14-00178

대구광역시 북구 호암로51 벤처오피스 512호 | 평일 09:00 ~ 18:00

070-7743-1267 | info@art-map.co.kr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2016-대구동구-0436

  • Facebook - Black Circle
  • Instagram - Black Circl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