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내 채널

내 채널

시청하기

아사천에 매화 꽃이 피었네, 4min 30sec, LED TV, 2013

이이남 Lee, Lee Nam
b.1969~

이이남 작가는 1969년 전남 담양에서 태어나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와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에서 공부하였습니다.  국내외에서 40회의 개인전을 열었고,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으며 2017년 제3회 난징 국제아트페스티벌에서 우수작가상을 받았습니다. 2008년부터 2013년 삼성전자 전속작가로도 활동 하는 등 G20 서울정상회의 선정작가, 한국유네스코위원 홍보대사 등 국내외 굵직한 미술 총 감독으로 활약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겸임교수로 활동 중입니다.

 작가는 2000년에 들어서 전공을 살려 고무찰흙을 활용한 클레이 애니메이션으로 영상 작업에 입문한 이후, 2006년부터 명화를 이용한 미디어아트 작업을 시작하게 됩니다. 사람들을 작품 앞에 머무르게 하고 싶다는 소박한 소망에 ‘움직이는 명화’를 착안했고 차가운 디지털에 온기를 불어넣는 작업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명화나 산수화를 통한 고전,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주제와 움직이는 영상, 동적인 회화라는 독창적이며 흥미로운 미디어아트 작품을 선보입니다. ‘모나리자’, ‘우유 따르는 여인’ 등 대중에게 익숙한 명화에 기술을 입혀 움직이는 그림을 표현하면서 순수미술의 이미지를 전복하고, 작품에 드러나는 ‘해학과 풍자’의 이미지는 보는 이에게 신선함과 재미를 주고 반전의 묘미를 꾀하게 만듭니다.

작가의 대표작품으로는 디지털 병풍과 묵죽도가 있는데, 특히 디지털 병풍은 그를 한국을 대표하는 미디어아티스트로 만든 작품입니다. 전통적인 산수, 학, 매화가 잔잔하게 흐르는 액션으로 변형시키고 멜로디에 따라 계절의 변화가 생깁니다.  2006년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에서 김홍도의 ‘묵죽도’와 모네의 ‘해돋이’를 결합한 작품으로 미술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는데, LCD모니터를 캔버스 삼아 평면적인 명화를 디지털로 전환한 후 애니메이션을 접목해 그림이면서 영상인 작품으로 미디어아트의 가능성을 드러냈기 때문입니다. 명화를 차용은 관람객이 친근하게 작품을 이해하고 느낄 수 있지만 창의성이 떨어지고 가벼워 보인다는 우려도 가져옵니다. 이 때문에 작가는 자신만의 이야기로 작품을 구성하면서 우리가 살면서 쉽게 지나치는 것을 다시 한번 되돌아볼 수 있는 작품을 만들고자 부단히 노력합니다.

 ‘움직이는 그림’으로 영상회화라는 새 장르를 개척한 작가는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 아날로그와 디지털 서로 반대되는 것이 하나로 결합하고 신선함을 주는 작업을 지속해옵니다. 서로 관계없어 보이지만 유기적인 연관성을 찾아 첨단과학과 고전이 만나서 창의적인 작품을 탄생 시킵니다. 작가는 이제는 거실이나 마트 등에서 누구나 손가락만 움직이면 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여 모바일 앱을 이용한 작품을 선보이는데, 이는 작품 그 자체를 휴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대중과의 소통에 한걸음 더 다가간 시도입니다. 작가는 최근 광주남구 평화의 소녀상을 제작, 국립중앙도서관 기록매체박물관 ‘책 속의 얼굴’ 설치작품을 하는 등 미디어아티스트라는 틀에 자신을 가두지 않고 여러 가지 작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학력
2017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 박사

2008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영상예술학 박사과정 수료

1995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주요전시

2017  ‘러시아 사이버페스트’, 세인트 피터스버그, 러시아

2016  빌비올라 이이남, 세인트 제이콥 교회, 겐트, 벨기에

‘세계의 정원 전’, 리트베르크 뮤지엄, 취리히, 스위스

‘혼혈하는 지구- 다중지성의 공론장’, 부산비엔날레, 부산

2015 개인의 구축물전, 베니스비엔날레, 이탈리아

2014 동시적울림, 포르타밧 미술관, 아르헨티나

2013 고베비엔날레, 일본

2011 청두비엔날레, East Chendu-Music Park, 중국 청도

2010 한.러 수교 20주년 개막식 미디어아트, 볼쇼이극장, 모스크바, 러시아

제1회 난징 비엔날레, 남경

2009 예일대학미술관 차 문화 초대전, 코네티컷, 미국

코리안 아이: 문제너레이션, 사치갤러리, 런던, 영국

2008 제3회 세비아 비엔날레, 알람브라 궁전, 그라나다, 스페인

2007 아시아의 새로운 물결, ZKM, 칼스루헤, 독일

2006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두 개의 현실, 서울시립 미술관 서울 외 다수

 

수상

2017 제3회 난징 국제 아트 페스티벌 우수작가상

제3회 난징 국제 아트 페스티벌 관람자, 평론가가 뽑은 관객상 수상

서울시 좋은빛상 수상

2010 선 미술상 수상

2009 대한민국 올해의 청년작가상 수상

2005 광주시립미술관 올해의 청년 작가상 수상

신세계 미술상 대상 수상

하정웅 청년작가상

2002 제8회 광주 미술상 수상

 

경력

2008~2013 삼성전자 전속작가 / G20 서울정상회의 선정작가 한국유네스코위원 홍보대사 / 2014 동아시아문화도시 영상감독 / 2015 광주 유니버시아드 미술총감독 / 2015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막식 미디어아트 감독 / 제 17회 세계수영선수권대회 폐막식 대회기 인수 미디어아트 감독

작품소장처

인천국제공항, 벨기에 지브라스트라트 미술관, 국립중앙도서관, UN본부, UN사무국,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중국 수닝예술관, 예일대학교, 워싱턴 주미한국대사관, 중국 후진타오 영부인, 리움미술관

상호명 : 아트맵 ART.Map | 대표 : 김선영 | 사업자등록번호 : 899-14-00178

대구광역시 북구 호암로51 벤처오피스 512호 | 평일 09:00 ~ 18:00

070-7743-1267 | info@art-map.co.kr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2016-대구동구-0436

  • Facebook - Black Circle
  • Instagram - Black Circl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