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신정균 Shin, Jung Kyun
b.1986~
신정균 작가는 1986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및 영상매체예술 연합전공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서양화 전공 석사 과정을 수료했습니다. 분단 국가라는 대한민국의 특수한 상황을 기록과 수집을 통해 비틀어 보여주는 작업으로 2013년 송은 아트큐브 [발견된 행적들], 2016년 아트스페이스오 [알 수 없는 일] 등 개인전을 열고 수 차례의 단체전에 참여하였습니다.
작가는 자전적 경험과 내러티브를 통해 우리에게 내재된 불안과 평온한 일상을 대비시키는 작업을 해왔습니다. 무장공비와 간첩이 실제 우리 삶을 위협하던 과거로부터 뚜렷한 실체 없이 이념 논쟁으로 치닫는 오늘날까지, ‘세계 유일의 분단 국가’라는 피상적인 수식을 걷어낸 대한민국의 민낯은 ‘군대’라는 공간에서 응축됩니다.
작가는 개인과 사회가 맞닿는 지점에 관심을 갖고 청년세대의 관점으로 시각화하는 작업을 주로 해왔습니다. 이념이 없는 세대인 개개인들의 사상과 가치관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사회로부터 개인에게 주입된 것이라 여깁니다. 작가는 어릴 적부터 찾던 동네 뒷산, 공원 등 일상적으로 방문하던 장소를 일상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관찰하거나 집안에서 다른 맥락으로 읽혀질 수 있는 물건들을 찾아내서 수집합니다.
유명 아이돌 가수의 노래가사를 북한의 폰트로 쓰자 선전, 선동 구호처럼 보이는 등 같은 문장이라도 어디서 만든 폰트로 쓰였느냐에 따라 전혀 다르게 읽히는 등 어떤 물건이 어떻게 보여지냐에 따라 우리의 판단력이 흐리게 합니다. 이념논쟁과 특정 프레임 덧씌우는 일은 현실에서도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는데, 세대에 따라 상이하게 받아들이는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작가는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합니다.
Artist Statement
언제부턴가 종말론이나 그림자 정부의 인구감소정책과 같은 음모론 따위에 관심이 많았다.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느끼는 두려움은 내 안에 그와 관련하여 유독 취약한 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이를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거라곤 밤늦게까지 편집증적인 웹페이지나 연달아 나오는 유튜브 영상을 뒤져보는 것뿐이었다.
학부 재학 시절, 교내에 거대한 지하벙커가 있다는 소문이 돌았는데 유사시 학생은 물론 교수 역시 전공의 중요도에 따라 대피 순서가 정해져 있으며, 고로 미대는 제일 꼴찌일 수밖에 없다는 우스갯소리를 하곤 했다. 위급한 상황에서도 쓸모에 의해 분류되고 그 순번에 들지 못한다면 내가 이런 것들에 관심 갖는 것도 어쩌면, 살아남고 싶다는 단순한 이유일 수 있겠다. 이렇듯 사소한 농담 중에도 느끼게 되는 불안은 익숙하지만 이상한 대상을 눈여겨보고 그 안에 관여하도록 만든다.
나는 실제 경험을 기반으로 개인과 사회가 맞닿는 지점에 시선을 두고 있다. 특히 평범한 사물이나 풍경이 의심스러운 것으로 바뀔 때 그 사이에 개입되어있는 것들에 대한 질문을 갖고 작업하는 중이다. 어느 순간부터 자연스럽게 들어와있는 상징과 내재된 감각들, 그 안의 단서를 발견하고 일상 속에 존재하는 흔적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는 특정한 사안에 대해 내가 끊임없이 요구받고 있는 태도와 부여된 의무에 대해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학력
2014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과 석사 수료
201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영상매체예술 연합전공 졸업
개인전
2016 알 수 없는 일, 아트스페이스 오, 서울
2013 발견된 행적들, 송은아트큐브, 서울
주요단체전
2017 아시아 창작공간 네트워크-Urban Implosion, 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7 역사의 천사에 대하여, 아마도 예술공간, 서울
2016 사적인 광장, 우민아트센터, 청주
2016 공감오류:기꺼운 만남, 아트스페이스 풀, 서울
2016 가상의 정치, 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16 육지부, 제주시민회관, 제주
2015 썸머 러브, 송은 아트스페이스, 서울
2013 뉴로맨스, 스페이스 K, 서울
2013 트라이앵글 아트 페스티벌, 스페이스 K, 광주
2012 언바운드 아카이브, 아르코미술관, 서울
2012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NEMAF), 한국영상자료원, 서울
2011 유타국제다큐멘터리페스티벌(DOCUTAH), Dixie University, 유타
수상 및 기타
2017 고양레지던시 13기 입주작가, 국립현대미술관
2016 풀 작가지원 프로그램 POOLAP 선정, 아트스페이스 풀
2015 시각예술 지원사업 선정, 서울문화재단
2014 일현 트레블 그랜트 특상 수상, 일현미술관, 양양
2013 작품 소장 및 배급, 아르고스 미디어아트센터, 벨기에
2012 아르코 미디어 아카이브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