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박광수 Park, Gwang Soo
b.1984~
박광수 작가는 서울 과학기술 대학교 조형예술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수 차례의 입주작가 프로그램을 거쳤습니다. 2011년 갤러리 비원에서 첫 개인전을 가진 이래 총 5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습니다. 2014년 서울문화재단 정기공모지원사업 시각예술부문에 선정, 2015년 ‘신한 영아티스트 페스타’ 및 2016년 두산연강예술상, 종근당예술지상을 수상하는 등 촉망 받는 젊은 작가 중 한 명입니다.
작가는 애니메이션 영상, 입체작업에 이르기까지 드로잉을 다양한 범주로 확장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작가는 군복무를 하면서 익힌 종이와 펜만으로 뭐든 그려낼 수 있는 단출한 작업태도를 제대 후에도 유지하여 현재까지도 흑백으로만 이미지를 완성하는 드로잉 작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캔버스에 아크릴물감으로 ‘펜의 정서’를 내기 위해서 직접 제작한 스펀지펜을 사용하는데, 딱딱한 스펀지를 잘라 나무젓가락에 붙인 것으로 작품마다 수십 개씩 소모된다고 합니다. 이후의 드로잉 작업들은 로토스코핑 기법을 통해 영상으로 재구성한 15편의 애니메이션을 선보입니다. ‘로토스코핑’은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여 라이브 액션필름에서 한 장면 한 장면을 대고 1대 1로 그리는 방식입니다. 현실과 가상에서 수집한 여러 영상들을 기반으로 제작한 애니메이션과 일상에서 경험하고 사유한 것들을 상상으로 풀어낸 애니메이션들이 서로 독립적이나 합쳐져서 하나의 불완전한 이야기를 만들어 냅니다.
작가의 주요 관심사는 생활 속의 틈새시간을 공상하는 것을 드로잉으로 표현하는 작업으로 메우는 것입니다. 짧은 시간에 떠오르는 여러 인물, 사물들의 이미지와 상황을 마치 일기를 쓰듯이 드로잉으로 표현하는 것은 그 시간들을 기억하고 기록하기 위한 작가만의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실제 밤에 산책을 하거나 여행을 하면서 느낀 경험을 재구성한 뒤 드로잉으로 표현했다고 합니다.
2014년부터 ‘어두운 숲’ 연작을 그려오는 작가는 수제펜을 이용하여 짧고 굵은 수백 수천 개의 검은 선을 긋는 행위를 통해 전달하는 입체적인 감각을 화폭에 담았습니다. 풍경과 대상의 경계와 구분이 흐트러져서 등장인물이 배경에 녹아 들거나 풍경 안에 숨는 것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숲 속을 헤매는 것과 같은 불안과 불가항력적인 상황에 대한 두려움의 심사를 직접적으로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Artist Statement
주로 펜, 먹이나 검은색 아크릴 물감을 사용한 드로잉과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로 작업을 한다. 즉흥적인 감각으로 수많은 점과 선을 중첩시켜 만들어낸 이미지는 일상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풍경인 동시에 그가 상상한 이미지들의 파편이다. 박광수는 일상과 무의식의 교차 지점에서 흔적을 남기듯 이미지를 엮어간다. 나에게 숲은 미지 생물의 원초적인 생명력이 꿈틀대는 장소로 꿈과 현실의 경계이며 이성의 영역 이전의 무의식이 자리잡은 공간이다. 짧고 긴 선들의 반복으로 윤곽선이 불분명한 그리기 형식을 최적화한 이 공간은 풍경과 대상의 경계와 구분이 흐트러져 등장인물이 배경에 녹아 들거나 풍경 안에 숨는 것이 가능하다. 그림의 대상을 더듬듯이 그려나가는 그리기 방식은 어두운 숲 속을 걷는 것과 같다. 검은 선들은 숲의 윤곽이 되고, 어두움이 되고, 나뭇가지가 된다. 이렇게 선들은 계속해서 자신의 역할을 바꿔가며 이 세계를 확장해 나간다.
학력
20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과 졸업
200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과 졸업
개인전
2016 좀 더 어두운 숲_금호미술관_서울
2015 검은바람, 모닥불 그리고 북소리_신한갤러리_서울
2014 Walking in The Dark_갤러리 쿤스트독_서울
2012 Man on pillow_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_서울
2011 2001: A SPACE COLONY_Gallery b'ONE_서울
그룹전
2017 메모리트릴로지_갤러리 플래닛_서울
2016 직관의 풍경_아라리오 갤러리_서울
백야행성_합정지구_서울
블랙, 더 정글_스페이스K-대구_대구
트윈픽스_하이트 컬렉션_서울
장소와 각주_금천예술공장 PS333_서울
The Animation Show_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_부산
불명열_175갤러리_서울
삼키기힘든_두산갤러리_서울
WOODCUTTING_가변크기_서울
2015 얼굴, 초상, 군상_이응노생가기념관_홍성
디지펀 아트:도시풍경_서울시립미술관_서울
어쩌다보니, 애니메이션_아트스페이스 오_서울
회화-세상을 향한 모든 창들_블루메 미술관_헤이리
우주는 대체로 텅 비어있다_오픈베타공간 반지하_서울
페르소나_갤러리 그림손_서울
2014 살아있는 밤의 산책자_지금여기_서울
걷기,리듬의 발견_AK갤러리_수원
오늘의 살롱_커먼센터_서울
아르코 아카이브 프로젝트1:New Archive Materials_아르코미술관 아카이브_서울
2013 인천아트플랫폼 4기 결과보고전_인천아트플랫폼전시장_인천
공중시간_성곡미술관_서울
오프앤프리국제영화제(OAF in focus)_서울시립미술관_서울
미디어+놀이터_트라이볼_인천
I=EYE-키미아트 10주년 기념 _키미아트_서울
PLATFORM ACCESS_인천아트플렛폼전시장_인천
2012 우민극장2012 만국박람회_우민아트센터_청주
점령_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전시실_청주
2010 음?_Gallery2_서울
이해를향한오해_송원아트센터_서울
1+1_GYM project_서울
2009 광화문, 상상_세종문화회관광화랑_서울
Dimension variable 2_갤러리보다_서울
Dimension variable 1_토포하우스_서울
2008 MoA Cine Forum 4_서울대미술관_서울
Come together_광저우미술학원미술관_중국 광저우
An idiot with a video camera vol.1_갤러리안단테_서울
협업프로젝트
2017 혁오 정규1집 앨범 타이틀곡 TOMBOY 뮤직비디오
2012 광장사각 - 홍승혜개인전 (작품협업)_아뜰리에에르메스_서울
레지던시
2017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11기 입주작가_서울
2014-15 금천예술공장 6,7기 입주작가_서울
2013 인천아트플렛폼 레지던시 4시 입주작가_인천
2012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6기입주작가_청주
수상
2016 두산연강예술상 수상
종근당 예술지상 수상
선정
2014-15 서울문화재단 정기공모지원사업 시각예술 부문 선정
2013 오프앤프리국제영화제 오프인포커스 선정
아르코미디어 작품 배급 선정